우리는 주변 사람들과 어울려 살아가면서 매사를 참 슬기롭게 살아가는 사람들을 보곤 한다. 그러면 "저 사람은 참 영리하다"고 한다든지 또는 "참 슬기롭게 산다"라는 말을 종종 듣는다.
이때 간혹 "나도 저렇게 되고 싶다'하는 생각을 갖곤 한다. 그래서 오늘은 우리가 "슬기롭다" 또는 "영리하다"는 말을 들으려면 어떻게 하면 될까? 한번 생각해 본다.
우리말 사전에는 "슬기"에 대해 "사리를 바르게 판단하고, 그 일을 사리에 맞도록 잘 처리해 내는 재능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이를 한자에서는 "슬기 지"자로 표현하기도 하고, "지혜'라고 표현한다.
한자의 슬기 지자를 찾아보면 "사물의 도리, 시비, 선악을 분별 및 판단하고, 처리하는 마음의 작용이라 설명하고, "지혜"는 삶의 경험이 풍부하거나 세상의 이치나 도리를 잘 알아 일을 바르교 옳게 처리하는 마음이나 두뇌의 능력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이상에서 슬기에 대해 살펴 본 바와 같이 슬기로운 사람은 사물의 도리 및 옳고 그름의 시비 그리고 선악을 잘 분별 및 판단하기 위해서는 우선 이에 대한 풍부한 지식이 있어야 할 것이다. 즉, 세상사에 대한 풍부한 지식이 요구된다.
그리고 슬기롭게 살기 위해서는 세상사에 대한 풍부한 경험이 있어 주변으로 부터 현재의 세상사에 옳고 적합한 판단 및 처리임이 인전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뿐만아니라 현재의 사회 및 시대상에 적합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현재의 시대에 대한 필요한 지식과 정보를 구비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문헌상에서 설명하는 슬기로움을 갖추려면 풍부한 지식과, 풍부한 경험 그리고 현재의 시대상에 적합한 판단 및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이 요된다는 것이다.
현재 우리 한마음 야학교에서 공부하는 학생분들은 매우 현명하시다. 여러분들은 슬기롭고 지혜롭게 세상을 사실려고 준비하고 있고 또 이를 하나씩 하나씩 실천하고 있으셔서, 여러분의 열정에 감탄을 보냅니다.
즉, 여러분은 검정고시라는 심적 압박을 받고는 있지만, 여러분은 여기에서 매일매일 새롭게 깨우침과 앎을 느끼고 계시며, 이를 통하여 여러분의 뇌는 매일매일 자극을 받아 홀발하게 움직이고 있고, 지식을 쌓아감과 동시에 사십대 후반이 되면 뇌가 조금씩 죽어간다고 하는데 이를 방지하고 겸하여 치매도 예방하고 있습니다. 이뿐 아니라 그 동안 살아오면서 쌓은 풍부한 경험에 여기에서 배운 지식을 이용하여 현 시대상에 대한 이해와 공부를 하실 수 있어 슬기로운 삶을 하나 하나 갖추어 가고 있으신 것입니다.
추가하여 여러분은 여러분 가정에서 현재 우리나라가 먹고 사는 것이 풍부해 지다보니 자식들이나 손자들이 핸드폰 게임에 열중하고 책을 읽는 것과 공부를 소홀히 하고 있는 경형인데 여러분이 만학하는 바람에 집안 분위기가 점차 공부하는 분위기로 바뀌어 가고 있을 것입니다. 뿐만아니라 주변에서 질시하는 분도 있겠지만 부러움과 존경하는 분이 있어 여러분을 다시 보고 있을 것입니다. 이는 내일모래 비수가 되는 저희 집안 분위기가 이를 말해주고 있습니다.
한마음야학교 학생 여러분 고맙습니다. 그리고 존경합니다.
2023년 11월 12일
진영섭 씀
우리는 주변 사람들과 어울려 살아가면서 매사를 참 슬기롭게 살아가는 사람들을 보곤 한다. 그러면 "저 사람은 참 영리하다"고 한다든지 또는 "참 슬기롭게 산다"라는 말을 종종 듣는다.
이때 간혹 "나도 저렇게 되고 싶다'하는 생각을 갖곤 한다. 그래서 오늘은 우리가 "슬기롭다" 또는 "영리하다"는 말을 들으려면 어떻게 하면 될까? 한번 생각해 본다.
우리말 사전에는 "슬기"에 대해 "사리를 바르게 판단하고, 그 일을 사리에 맞도록 잘 처리해 내는 재능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이를 한자에서는 "슬기 지"자로 표현하기도 하고, "지혜'라고 표현한다.
한자의 슬기 지자를 찾아보면 "사물의 도리, 시비, 선악을 분별 및 판단하고, 처리하는 마음의 작용이라 설명하고, "지혜"는 삶의 경험이 풍부하거나 세상의 이치나 도리를 잘 알아 일을 바르교 옳게 처리하는 마음이나 두뇌의 능력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이상에서 슬기에 대해 살펴 본 바와 같이 슬기로운 사람은 사물의 도리 및 옳고 그름의 시비 그리고 선악을 잘 분별 및 판단하기 위해서는 우선 이에 대한 풍부한 지식이 있어야 할 것이다. 즉, 세상사에 대한 풍부한 지식이 요구된다.
그리고 슬기롭게 살기 위해서는 세상사에 대한 풍부한 경험이 있어 주변으로 부터 현재의 세상사에 옳고 적합한 판단 및 처리임이 인전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뿐만아니라 현재의 사회 및 시대상에 적합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현재의 시대에 대한 필요한 지식과 정보를 구비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문헌상에서 설명하는 슬기로움을 갖추려면 풍부한 지식과, 풍부한 경험 그리고 현재의 시대상에 적합한 판단 및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이 요된다는 것이다.
현재 우리 한마음 야학교에서 공부하는 학생분들은 매우 현명하시다. 여러분들은 슬기롭고 지혜롭게 세상을 사실려고 준비하고 있고 또 이를 하나씩 하나씩 실천하고 있으셔서, 여러분의 열정에 감탄을 보냅니다.
즉, 여러분은 검정고시라는 심적 압박을 받고는 있지만, 여러분은 여기에서 매일매일 새롭게 깨우침과 앎을 느끼고 계시며, 이를 통하여 여러분의 뇌는 매일매일 자극을 받아 홀발하게 움직이고 있고, 지식을 쌓아감과 동시에 사십대 후반이 되면 뇌가 조금씩 죽어간다고 하는데 이를 방지하고 겸하여 치매도 예방하고 있습니다. 이뿐 아니라 그 동안 살아오면서 쌓은 풍부한 경험에 여기에서 배운 지식을 이용하여 현 시대상에 대한 이해와 공부를 하실 수 있어 슬기로운 삶을 하나 하나 갖추어 가고 있으신 것입니다.
추가하여 여러분은 여러분 가정에서 현재 우리나라가 먹고 사는 것이 풍부해 지다보니 자식들이나 손자들이 핸드폰 게임에 열중하고 책을 읽는 것과 공부를 소홀히 하고 있는 경형인데 여러분이 만학하는 바람에 집안 분위기가 점차 공부하는 분위기로 바뀌어 가고 있을 것입니다. 뿐만아니라 주변에서 질시하는 분도 있겠지만 부러움과 존경하는 분이 있어 여러분을 다시 보고 있을 것입니다. 이는 내일모래 비수가 되는 저희 집안 분위기가 이를 말해주고 있습니다.
한마음야학교 학생 여러분 고맙습니다. 그리고 존경합니다.
2023년 11월 12일
진영섭 씀